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

봉건제도의 뜻, 제도 존재 이유

by 셜록홈즈2 2022. 12. 20.
반응형

학생 시절 배웠던 봉건 제도에 대해서 설명해보라는 말에 아무 말도 하지 못했습니다. 신분제라는 것은 알겠는데, 이와 관련해서 기억이 나지 않더라구요. 열심히 찾았는데 관련해서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성
출처 : pxhere

 

유럽의 봉건제도

역사학자들은 유럽의 중세 시대를 15세기 중반까지 중세 시대로 보고 있습니다. 중세 시대라고 하면 넷플릭스를 많이 보시는 분이라면 머리 속 그려지는 풍경이 있을 것입니다. 말을 타고 있는 기사, 근사한 왕궁, 아름다운 공주, 커다란 성 등 중세 시대로 특정되는 건축물과 분위기에 대해서 넷플릭스에서 자주 보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절대적인 권력은 종교였고, 그 다음이 바로 토지였습니다. 땅이 곧 힘이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권력자들은 자신의 땅을 지키기 위해 기사를 고용합니다. 앞서 말한 기사가 중세 시대로 대표되는 이유이죠. 또한, 자신의 땅을 지키기 위해 성을 쌓아 중요 토지들과 재산을 보호하였습니다. 기사들은 충성을 맹세하고 땅을 하사받았으며 자신을 보호하기가 힘들었던 농민들은 왕과 기사들로부터 보호받았습니다. 이렇게 땅을 나눠주고 주인과 신하의 관계가 맺어진 것이 봉건제입니다. 막강한 권력을 가진 왕, 기사를 영주라고 했으며 이 봉건제는 영주라는 기득권층과 농민들, 즉 피지배층이 되었습니다.

 

봉건 제도가 지속된 이유

앞서 본 바와 같이 봉건 제도는 자신의 토지를 지키기 위해 생긴 제도입니다. 바이킹족에 의하여 많은 침탈을 당하였던 유럽의 국가들은 외부 세력들에게 대항하기 위해서 강한 사람이 필요로했고, 이러한 일들을 하던 기사들은 결국에는 왕이 되었죠. 즉, 힘이 권력이 되었고 이러한 힘은 체제를 유지시켜주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