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이야기

BPS(Book value Per Share) 주당 순자산가치란?

by 셜록홈즈2 2022. 12.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 온 눈이 녹아서 길이 빙판길로 변했네요. 다들 운전 조심해서 하셔요. 오늘은 제무재표에서 알 수 있는 BPS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식차트
출처 : pxhere

BPS란 무엇일까요?

영어로는 Book value Per Share로서, 주당 순자산가치입니다. 이렇게 경제학적 용어로만 설명하면 이해하기 힘드니, 비유를 통해서 얘기해봅시다. 길동 회사는 현재 마스크를 만드는 공장을 운영중입니다. 공장에 있는 설비가 약 100만원 정도이고, 지금까지 만들어온 마스크의 재고가 100만원, 회사에 현금이 100만원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렇다면 길동 회사의 총 자산은 300만원입니다. 길동 회사의 주식이 약 1000개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길동 회사의 BPS는 얼마일까요?

 

3,000,000 / 1,000 = 3,000원

 

길동 회사의 주당 순자산가치는 3,000원이네요. 이렇게 기업의 자산을 현재 발행된 주식수로 나눈 값을 주당 순자산가치라고 합니다. 제무재표 상의 BPS는 기업의 모든 자산을 포함한 값입니다. 자산이라는 것이 토지, 건물, 설비, 재고, 금융자산 등 다양한 것이 포함되어 있기에 실제로는 값을 산출하기가 엄청 까다롭습니다.

 

그렇다면 BPS가 크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주당 순자산가치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무 건전성이 좋은 것이죠. 그렇기에 제무재표 상으로 BPS가 높다는 것은 좋은 투자의 지표가 될 수 있죠. 물론 주식이라는 것은 현재의 가치가 아니라 미래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기에 무조건적으로 맹신하면 안되고, 단순 참고 지표로만 삼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