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차나 설비를 구매하면 감가 상각이 일어난다고 평상시에 많이 표현을 합니다. 오늘은 감가 상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감가상각의 정의
감가 상각은 시일의 경과에 의해 감가되는 고정 자산의 가치를 일정한 비율의 비용 또는 제품의 제조 원가로 계산해 그 금액만큼 취득 원가를 감가하는 회계적 절차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학문적인 용어로 설명하면 어려우니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0
저는 자동차를 1000만원 주고 구매했습니다. 시장에서 제가 구매한 자동차는 1년마다 100만원 감가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무사고라고 가정했을 때, 제가 구매한 자동차는 700만원에 판매될 것입니다. 기업에서는 매년 회계 장부를 작성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년 -100만원씩 자본에서 감소시키는 것이죠.
이러한 것을 감가 상각을 회계 장표에 적용한다고 표현합니다. 제조업 특성상, 많은 설비가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이러한 감가상각을 제품 원가에 녹여내어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잡다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출가스 저감 사업이란, 노후 경유 차 조기 폐차, 지원 금액, 개별소비세 감면, 절차, 신청 방법 (0) | 2023.03.14 |
---|---|
착한 운전 마일리지란, 착한 운전 마일리지 인터넷 신청 방법 (0) | 2023.03.13 |
첫 만남 이용권, 신청 방법, 지원 대상 및 지원 기간, 사용처 (0) | 2023.03.10 |
간접세와 직접세 정의 (0) | 2023.03.09 |
고정분류 여신과 고정 자본 소모 정의 (0) | 2023.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