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9 BPS(Book value Per Share) 주당 순자산가치란? 안녕하세요. 어제 온 눈이 녹아서 길이 빙판길로 변했네요. 다들 운전 조심해서 하셔요. 오늘은 제무재표에서 알 수 있는 BPS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BPS란 무엇일까요? 영어로는 Book value Per Share로서, 주당 순자산가치입니다. 이렇게 경제학적 용어로만 설명하면 이해하기 힘드니, 비유를 통해서 얘기해봅시다. 길동 회사는 현재 마스크를 만드는 공장을 운영중입니다. 공장에 있는 설비가 약 100만원 정도이고, 지금까지 만들어온 마스크의 재고가 100만원, 회사에 현금이 100만원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렇다면 길동 회사의 총 자산은 300만원입니다. 길동 회사의 주식이 약 1000개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길동 회사의 BPS는 얼마일까요? 3,000,000 / 1,000 = 3,000.. 2022. 12. 23. 통화승수(money multiplier)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다들 좋은 하루 보내셨나요? 저는 오늘 무척이나 바빴는데, 애쓰던 일을 좋게 해결해서 무척이나 기분이 좋은 하루입니다. 유튜브 쇼츠를 보다가 우연히 통화승수(money multiplier)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통화승수(Money Multiplier)란 무엇인가요? 원론적인 설명도 있고, 경제학적 설명도 있지만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설명은 "한국은행이 공급한 돈이 얼마나 유통되는가?"인 것 같습니다. 한국은행은 시중은행들에게 돈을 유통하고, 우리는 은행으로부터 대출 등을 통해서 자금을 공급받습니다. 즉,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돈을 공급하는 것이죠. 통화승수는 이렇게 한국은행이 공급한 돈이 시중에 얼마나 유통되는지를 의미하는데요. .. 2022. 12. 22. 노킹(불완전 연소)의 정의와 원인 안녕하세요. 최근들어 자동차에 큰 관심이 생겨서 엔진을 동작 메커니즘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것이 자동차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가솔린 엔진의 동작 메커니즘 중 발생하는 노킹에 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노킹이란 우선 노킹의 어원은 두드린다는 것입니다. 금속으로 된 엔진이 두드리는 듯한 소음이 들리는 것에서부터 유래된 말이 바로 노킹입니다. 이러한 노킹 현상이 일어나면 운전을 원활히 하지 못하게 되고, 엔진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데요. 보통 가솔린 엔진에서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실린더의 혼합기는 점화플러그에 의해 점화되면 화염면이 발생하고, 이 화염면이 움직이면서 미연가스와 반응하여 의도치 않은 공간에서의 발화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바로 노킹입니다. 아무래도 휘발유는 인화점(40~65.. 2022. 12. 22. 봉건제도의 뜻, 제도 존재 이유 학생 시절 배웠던 봉건 제도에 대해서 설명해보라는 말에 아무 말도 하지 못했습니다. 신분제라는 것은 알겠는데, 이와 관련해서 기억이 나지 않더라구요. 열심히 찾았는데 관련해서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유럽의 봉건제도 역사학자들은 유럽의 중세 시대를 15세기 중반까지 중세 시대로 보고 있습니다. 중세 시대라고 하면 넷플릭스를 많이 보시는 분이라면 머리 속 그려지는 풍경이 있을 것입니다. 말을 타고 있는 기사, 근사한 왕궁, 아름다운 공주, 커다란 성 등 중세 시대로 특정되는 건축물과 분위기에 대해서 넷플릭스에서 자주 보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절대적인 권력은 종교였고, 그 다음이 바로 토지였습니다. 땅이 곧 힘이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권력자들은 자신의 땅을 지키기 위해 기사를 고용합니다. 앞서 말한 기사가 .. 2022. 12. 20.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반응형